본문 바로가기

바흐2

바흐의 오라토리오 '요한 수난곡': 극적이고 강렬한 신앙의 음악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요한 수난곡(Die Johannes-Passion, BWV 245)*은 그의 대표적인 수난곡 중 하나로, *마태 수난곡(Die Matthäus-Passion, BWV 244)*과 함께 성 금요일 예배를 위한 중요한 작품으로 꼽힙니다. 요한 수난곡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요한복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극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감정적인 표현이 돋보입니다. 1. 작곡 배경과 역사적 맥락 (1) 바흐가 이 작품을 작곡한 이유1723년, 바흐는 독일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Thomaskirche)*의 칸토르(음악 감독)로 부임했습니다. 라이프치히는 당대 루터교 신앙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교회.. 2025. 2. 24.
바흐의 B단조 미사 바흐는 1723년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교회의 칸토르(교회 작곡가 겸 성가대 지휘자)가 되어 교회의 음악파트를 총괄하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교회 부속학교의 음악교사까지 겸하여 매주 칸타타와 성가곡을 비롯한 교회절기에 따른 곡들을 작곡하는 과중한 임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바흐의 종교음악들, 'B단조미사'를 비롯하여 '마태수난곡', '요한수난곡', '마니피카트', '크리스마스오라토리오' 등이 이때 작곡되었습니다. 그중에서 ‘B단조 미사’는 1724년부터 그가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인 1749년까지 무려 25여 년에 걸쳐 완성된 대곡입니다. 그러다 보니 바흐의 살아생전에 전곡이 연주된 적이 한 번도 없었던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바흐가 평생 동안 사용하고, 발전시킨 음악양식을 기악과 성악.. 2024. 3. 11.